kt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아

자유게시판4 Comments

대기업 집단 10곳 중 4곳 만성 재정난
48개 집단 중 21개 집단, 부채비율 3년 연속 200% 상회
동국제강, 연결이자보상배율 -0.08배
2015년 07월 20일 (월) 16:36:42 이광영  kylee@snmnews.com

  대기업집단 10곳 중 4곳은 3년째 연결부채비율이 200%를 넘는 만성 재정난에 처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형 조선사들의 재무구조도 최근 수년간 급격히 악화해 부실 위험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일 금융투자업계와 경제개혁연구소에 따르면 공정거래법상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가운데 금융회사, 공기업을 제외한 48개 집단의 2012~2014년 회계연도 연결부채비율을 조사한 결과, 작년 말 기준 연결부채 비율이 200%를 초과한 기업집단은 23개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의 절반에 육박하는 수치다. 

  이 가운데 21개 기업집단의 연결부채비율은 3년 연속 200%를 넘었다. 

  또 연결부채비율이 2012년보다 악화된 기업집단도 모두 15개로 집계됐다. 

  2년 새 연결부채비율이 50%포인트 넘게 높아진 그룹은 현대, 동부, 한진, 한국GM, 한솔, 대우조선해양, 한화, 한진중공업, 대우건설, 대성 등 9곳이다. 동부의 경우 2년 새 397.57%에서 864.21%로 466.64%포인트 뛰었고 한진과 한국GM은 같은 기간 각각 185.19%포인트, 149.86%포인트 높아졌다. 

  조선사 연결부채비율은 대우조선해양이 325.96%로 2012년보다 70.25%포인트 높아졌다. 한진중공업도 같은 기간 60.15%포인트 높아진 316.28%를 나타냈다. 

  또 연결이자보상배율이 1배 미만인 기업집단도 작년 말 현재 16개사로 집계됐다. 

  이자보상배율은 이자비용 대비 영업이익으로, 수익성과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된다. 이 지표가 1배 미만이라는 것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낸다는 의미다. 

  기업집단별 연결이자보상배율은 현대중공업이 2012년 4.68배에서 작년 -11.32배로 가장 저조한 수준으로 추락했고 ▲ S-Oil -6.37배 ▲ KT -1.16배 ▲ 한국GM -1.11배 ▲ 동부 -0.96배 ▲ 한진중공업 -0.58배 ▲ GS -0.45배 ▲ 대림 -0.43배 ▲ 현대 -0.13배 ▲ 동국제강 -0.08배 등이다. 

  동부, 한진중공업, 현대, 동국제강, 대성, 한진 등 6개 기업집단은 3년 연속 연결이자보상배율이 1배 미만이면서 지난해 말 기준 연결부채비율이 200%를 넘었다. 

  김우찬 경제개혁연구소장은 “국내 21개 대기업집단은 3년 연속 연결부채비율이 200%를 초과해 만성적인 재무구조 악화 상태에 빠졌다”며 “대기업의 재무구조 개선과 구조조정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4 Comments on “kt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아”

  1. 6~7명 팀원마다 놀고 먹는 팀장이 너무 많다.  하는 일도 없이 근태나 관리하는데 급여는 7~8천만원이 말도 안된다.  

  2. 나팀장님,

    10명 이하 팀은 통합하면 됩니다. 그렇다고 인위적인 사람자르기 주조조정은 반대입니다.

    현실의 kt를 보면 전사적으로 “Single kt”를 외치고 있는데

    아직도 팀간의 내부경쟁때문에 큰 숲을 못보고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10명 이하 팀은 통합하고(필요하면 전진배치)…

    통합으로 남은 팀마다의 백오피스 인력(2~3명)을 부족한 현장에 배치하시면

    효율적인 조직관리가 될 것 같습니다..

     

    불필요한 내부경쟁 일소로 “Single kt”를 구현합시다.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