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삶의 질 만족도’ 내전 겪는 이라크보다 낮아
미국 여론조사기관 갤럽은 보건컨설팅업체 헬스웨이스와 공동으로 지난해 135개국에서 15세 이상 남녀 13만3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3 세계 웰빙(삶의 질) 지수’ 순위를 1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조사는 전화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 |
인생 목표, 사회관계, 경제 상황, 공동체의 안전·자부심, 건강 등 5개 항목으로 시행된 여론 조사에서 우리 국민이 3개 항목 이상에서 삶의 질 만족도가 강하고 지속적인 상태를 뜻하는 ‘번영 중’이라고 답한 비율은 14%에 불과했다.
우리나라는 이 순위에서 75위에 머물며 대만(18%·55위), 일본(15%·64위)은 물론 말레이시아(24%·36위) 필리핀(24%·40위) 태국(22%·44위) 인도(15%·71위) 이라크(15%·73위)보다도 밀렸다.
갤럽과 헬스웨이스는 국력, 실질적인 국민 건강상태와 별도로 국민 스스로 느끼는 주관적인 삶의 질 체감 지수를 알아보고자 조사 참가자에게 항목마다 ‘번영 중’ ‘고전 중’ ‘고통받는 중’ 가운데 하나를 택하도록 했다.
이 결과 우리 국민 대다수는 삶의 목표 실현에서 고전 중(46%) 또는 고통받는 중(40%)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14%만 목표 실현이 만족스럽다고 답했다.
사회관계 또한 고전 중(47%)이라는 답변이 긍정적 답변(22%)의 두 배를 넘었고, 공동체 안전·자부심과 건강 항목에서는 고전 중이라는 응답이 각각 63%와 65%로 절반을 넘겼다. 5개 항목 중 우리 국민이 가장 만족한 부문은 경제 상황으로, 응답자의 37%가 번영하고 있다고 택했다.
![]() |
파나마 국민은 3개 항목 이상 만족스럽다는 답변을 택해 긍정답변 비율 61%로 전체 1위에 올랐다. 파나마 국민은 삶의 목표(66%), 사회관계(68%), 공동체 안전·자부심(58%), 건강(63%) 등 경제 상황을 제외한 4개 항목에서 모두 만족 비율 1위를 달렸다.
파나마에 이어 코스타리카(44%) 덴마크(40%) 오스트리아·브라질(39%) 우루과이·엘살바도르(37%) 스웨덴(36%) 과테말라·캐나다(34%) 순으로 삶의 질 만족도가 높았다.
오랜 내전으로 삶이 피폐해진 시리아와 아프가니스탄은 만족도 1%로 최하위권에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