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경영제 ”위에서 수익 취하고, 아래로 위험 보내는 ‘책임전가제”

자유게시판Leave a Comment

KT, ‘책임경영제’ 시범도입…성과↑ 기대

지역본부·지사장 자율성 부여, 연말까지 일부 1지역본부·6지사 운영


새노조·일각 “위에서 수익 취하고, 아래로 위험 보내는 ‘책임전가제”

 
서현일 기자 

KT(회장 이석채)가 현장 관리자의 권한과 역할을 강화하는 ‘책임경영제’를 현장 일부 조직을 대상으로 올해 말까지 시범적으로 운영키로 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수익은 상층이 취하고 부담과 위험은 아래로 전가’ 시키는 경영 행태라고 비난하고 있어 주목된다.

KT는 지난 1일부터 일부 현장조직 기준으로 예산운영과 조직 및 인력구성에 자율성을 강화하는 현장 책임경영제를 시범운영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KT에 따르면 이번 ‘책임경영제’ 대상은 수도권서부고객본부와 서초지사 등 6개 지사, 그리고 2개 마케팅부다. 대상조직은 기존 7월 말에 비해 예산 운영의 자율성을 부여 받는다. 과거에는 매출 및 비용지표를 별도로 평가 받았지만, 8월부터는 이익개선도 중심으로 평가를 받는다. 

해당 기관장은 조직 구성에서도 일정 범위 내에서 부서를 자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 인력도 일정범위 내에서 조정해 운영할 수 있다. 지사의 매출 증가가 인력증가에 따른 비용증가분을 상쇄할 수 있다고 판단 될 경우 지사인력을 기존 대비 늘릴 수도 있는 것. 

KT는 “이 제도의 시범운영을 통해 현장 관리자의 권한 강화가 갈수록 심해지는 통신시장에서 탄력적인 대응과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지 점검할 예정”이라며 “조직이나 인력에 있어서도 그 동안 비용부담으로 인해 확대를 꺼려 왔으나, 기관장의 의지에 따라 성과중심으로 자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KT 새노조를 비롯한 KT 일각에서는 낙하산 경영진들의 전형적인 위험전가 수법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이해관 새노조 위원장은 12일 자료를 통해 “영업실적이 최악인 상황을 만회하기 위한 방법으로 나온 것이 책임경영제이다”며 “비용절감을 위한 노동강도 강화를 본사 주도로 하는 것이 계속 문제가 되니 지사장 등이 알아서 하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비용도 예산 범위 내에서 알아서 쓰고 그 책임을 묻겠다는 것”이라며 “더 쥐어짜겠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KT 관계자는 “결국 구조조정을 현장에서 알아서 하라는 것”이라며 “책임경영제는 구조조정에 대한 책임을 아래로 넘기는 책임전가제이다”고 비난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