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인터넷] 이통3사, 통신장애 소비자보상 뒷전…KT·LG유플러스 ‘0건’
|
거의 매년 통신대란 발생, 장애 37시간 30분동안 654만명 피해봐
피해 보상은 SKT만 1인당 7200원뿐 KT와 LGU+는 아예 없어
3사 모두 예방대책 전무한 체 관련예산도 없는 실정
7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유승희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성북갑)에 따르면 2004년부터 최근까지 통신대란을 일으킨 통신장애 횟수가 18회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시간도 37시간30분에 달했다.
올 1월부터 4월까지 통신대란이 발생했던 통신 장애건수는 KT 8회, SK텔레콤 5회, LG유플러스 5회로 총 18회였다.
장애의 주요 원인은 소프트웨어 오류나 하드웨어 불량, 과부하 등 통신사 부주의로 인한 인재사고로 이로 인해 국민들이 겪은 장애시간은 3개사 모두 10시간 이상씩 총 37시간32분을 기록했다.
통신장애로 피해 입은 국민이 654만명에 달했지만 정작 통신사들의 피해보상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장애로 피해를 입은 국민은 피해자를 제대로 파악조차 못하고 있는 LG유플러스를 제외하고도 KT가 47만2000명, SK텔레콤 607만명 등 총 654만명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피해를 본 국민들에 대한 보상은 SK텔레콤이 438억6000만원(1인당 7200원)을 보상했을 뿐 KT와 LG유플러스는 보상자체가 없거나 자료관리 조차 안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통신장애 제발 방지를 위한 통신사별 예산은 KT 206억원(2005년), SK텔레콤 11억3600만원(2014년 집행) 으로 나타났고 LG유플러스는 파악조차 안됐다.
아울러 장애 예방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 하였거나 및 예산을 마련하고 있는 통신사는 단 한곳도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승희 의원은”통신장애는 수많은 국민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생계문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사안”라며 “통신사들의 자발적인 장애 예방노력과 손해보상체계가 요구되며, 정부도 이에 대한 관리ㆍ감독을 철저히 해야 할 것”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