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G 종료 서비스 ‘급제동’ LTE 개시 ‘불투명’ 종편 투자 의혹, 낙하산 인사 논란 ‘구설수’ 직원들 스트레스 상당…3년동안 돌연사 46명
임기 3개월을 앞둔 이석채 KT 회장의 근심이 날로 깊어가고 있다. 연임 여부 결정을 앞두고 각종 악재가 끊이지 않아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올해 초만 해도 이 회장은 연임쪽으로 무게가 실려있었다.
하지만 지난 8일 종료 예정이었던 2G 서비스에 급제동이 걸리면서 롱텀에볼루션(LTE) 상용서비스 개시마저도 불투명, 연임에 상당히 불리할 것으로 보인다.
KT 2G 사용자들은 지난 7일 서울행정법원에 2G 종료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KT가 2G 가입자를 3G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불법행위를 행사했다는게 그 요지다.
KT는 “말도 안된다”며 즉시 항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문제는 행정소송이 1심에서만 최소 6개월 이상 소요될 수 있다는 점에서 KT에게 상당한 타격이 예고된다.
특히나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통신업계의 핫 아이템인 LTE 관련 상품들을 쏟아내며 선두 경쟁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KT는 명함조차 내밀지 못하고 있어 이 회장의 연임에 부정적일 수 밖에 없다.
종편투자 ‘정부 압력’ 있었나
‘종편투자 의혹’도 이 회장에게 치명적이다. “사업성이 없어 안한다”던 당초 계획을 무색하게 하리만큼 KT의 자회사를 통해 종편 4개채널 모두에 총 83억9000만원을 투자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커지고 있다.
게다가 주주구성 현황 공개의무 최소 지분인 1%를 넘지 않을 만큼 투자해 이를 숨기려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거세다.
지분으로 1% 미만이나 KT캐피탈로서는 대량 투자기 때문이다. KT캐피탈은 올 6월 말을 기준으로 총 자산이 2조2463억원에 당기순이익이 194억3000만원이다. 당기순이의 절반가량을 종편에 투자한 셈이다.
이 회장은 “통신사로서 좋은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투자했다”고 밝혔지만 종편 4사의 미래성이 충분히 보장되지 못한 상황에서 비춰볼때 상식적이지 않은 투자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정부가 KT를 통해 종편을 지원하고 나선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이 회장이 이명박 대통령이 임명한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으로 재직하다 KT 회장직에 입성해, 낙하산 논란에 휘말린바 있기 때문이다. 또 KT캐피탈은 청와대 경제비서실 행정관을 지낸 윤종화씨가 감사로 있어 의혹에 더욱 힘을 싣고 있는 상태다.
직원들 고강도 구조조정에 압박감 상당
KT의 일부 사외이사와 임원들에 대한 낙하산 인사도 논란이 여전하다. 실제 장관 낙마 인사, 인수위와 청와대 출신은 물론 이 회장과 개인적인 연이 닿는 사람들이 사외이사와 임원에 상당수 포함됐다.
내부적으로 비리와의 전쟁을 선포, 공기업의 잔재와 부정부패를 일소하겠다고 공언한 것과는 지극히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 회장은 낙하산 인사와 명예퇴직 형식으로 조직정비를 실시해 5000명이 넘는 인원을 줄였다. 하지만 2009년 이후 실시된 고강도 구조조정이 직원들에게 과로와 스트레를 가중시켜 돌연사 하거나 자살에 이르게 했다는 의혹이 수차례 제기돼 시민단체로부터 비난을 받아왔다.
한계례가 입수한 녹색병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의 ‘KT와 KT자회사의 노동자 정신건강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07년부터 올해 10월까지 사망한 KT 직원들 74명의 사망원인 1순위는 순환기계통 질환으로, 무려 31명(41.9%)이 순환기계통 질병으로 숨졌다. 이는 한국인 사망원인 중 1순위인 암과 비교했을 때 지나치게 높은 비율이다.
연임 불리…”성공하더라도 1년 후 미지수”
상황이 이렇다보니 내부 직원들 조차 이 회장을 향한 불만의 목소리가 팽배하다. 한 KT 관계자는 “현대중공업 와이브로같은 사업들이 제대로 실적에 반영되지 못하는 등 유명무실화되는 측면이 있어 직원들에게 가중되는 압박이 상당하다”며 “매출이나 영업이익이 합병 혹은인력을 줄인 결과라 다들 회의적인 분위기”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이 회장의 검찰 내사설까지 나돌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MB 정권레임덕과 맞물려 만에 하나 연임 관련 구설수에 휘말릴 경우 치명적인 악재가 될 것이 분명하다”며 “연임에 성공하더라도 1년 후에는 어떻게 될지 미지수다. 최시중 방통위원장 등 정부 관계자들과 친분이 깊다는 것도 외풍의 가장 많이 흔들릴 수 있다는 반증 아니겠냐”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