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송응철 기자] BC카드 내부가 술렁이고
있다. KT에 인수된 이후부터다. 통상 M&A 이후엔 크고 작은 불만이 나오게 마련. 하지만 BC카드는 그 정도가 다르다. 직원들의
불만이 하늘을 찌를 기세라는 후문이다. 대체 KT와 BC카드 사이엔 어떤 일이 있었던 걸까.
막무가내 조직개편·구조조정에 직원 불만 급증
‘모바일 결제 플렛폼’ 목표에도 차질
불가피
KT는 지난해 11월1일 BC카드를 전격 인수했다.
향후 삶의 지형도에 큰 변화를 가져올 스마트폰 시대를 주도하려는 통신사로서 카드업계의 여러 현안에 주목해 금융과 통신 융합으로 국민 경제와
생활에 기여하기 위해서라는 게 KT가 밝힌 인수 배경이다. KT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모든 플라스틱 카드를 없애고 사용자와 가맹점이 스마트폰만
있다면 카드 결제가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인수 직후 사장
교체
그런데 이런 야심찬 계획에 차질이 생기게 됐다.
KT와 BC카드 직원들 사이에서 심심찮게 마찰이 빚어지고 있어서다. M&A 이후엔 크고 작은 불평의 목소리가 나오게 마련이지만 이번엔 그
정도가 심하다. 폭발 직전까지 쌓였다는 게 다수의 BC카드 내부관계자의 전언이다. 결국 BC카드 직원들이 KT의 목표를 위해 수족처럼 움직여
주지 않을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이상 징후가 감지된 건 지난해 3월 KT가
보고펀드와 BC카드 지분 인수계약을 체결하면서다. 당시 KT는 우리은행과 신한카드가 보유했던 BC카드 지분을 인수해 총 38.86%의 지분을
확보하면서 BC카드의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동시에 당시 KT캐피탈 사장이던 이종호씨가 BC카드
사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어느 정도 예상했던 일이어서 직원들의 동요는 크지 않았다. 새로운 ‘보스’의 스타일에 적응하기 위해 몸을 낮추고
분위기를 살피는 정도가 전부였다.
문제가 가시화 된 건 지난해 9월 금융위원회가
KT캐피탈이 신청한 BC카드 대주주 승인요청을 최종적으로 의결한 직후다. 당시 대대적인 조직개편 작업이 단행됐다. 이 사장이 본격적으로 색깔을
내기 시작한 것이다.
먼저 이사보 직위를 폐지했다. 이를 통해 임원급
대우를 받던 기존 이사보급 직원 상당수가 다시 부장으로 발령받으면서 임원이 줄어들었다. 임원이 평직원급으로 돌아가는 다소 파격적인 조치다.
BC카드는 지난 2010년 부장급 직원의 열정적인 업무 독려 등을 위해 이사보를 신설한 바 있다.
임원이 줄어들면서 상당수 임원이 업무를 겸직하는가
하면 일부 부장급 직원은 일반 팀원으로 보직이 변경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직원들 사이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한 것도 이 즈음부터인
것으로 전해졌다.
BC카드 직원들의 불만과 분노가 극에 달한 건
지난해 12월이다. BC카드는 지난 2003년 이후 10년 만에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벌였다. 내부 인사 적체를 해소라는 명목에서였다.
퇴직자에게는 28개월분의 급여를 지급한다는 조건을 걸었다.
구조조정을 통해 임원급을 중심으로 80여명의 직원이
회사를 떠났다. 희망퇴직 형태였지만 사실상 퇴출이라는 게 직원들의 전언이다. 개편된 조직에 이제 막 적응한 직원들은 인력감축에 따른 노동 강도
강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간신히 목숨을 부지한 고위간부들은 전의를 상실한 상태다. 앞으로
2~3년을 넘기지 못하리란 얘기가 돌고 있어서다. 따라서 다수의 고위간부들은 회사일은 뒷전에 두고 재테크나 사업구상 등 퇴직 후 일에 골몰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당연히 업무가 원활히 돌아갈리 없다. 이런 상황이지만 직원들은 마른 가슴만 쾅쾅 칠뿐
어디 하소연 할 데가 없다. KT에서 파견된 부서가 BC카드 관리를 전담하고 있어서다. 과거 KT 내부에서 명맥만 이어오던 이 부서는 BC카드
인수 이후 조직을 보강, 인사고과는 물론 정책방향 설정까지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게다가 윗선은 이미 KT 측 인사가
접수한 상태다.
직원들 전의
상실
상황은 좋지 않다. 직원들의 불만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지만 해결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 특히 BC카드에 비자카드와의 수수료 문제, 차세대 시스템 중단에 따른 처리 등
당장 해결해야 할 난제가 산적한 상황이어서 더욱 그렇다. 나아가 KT가 추진 중인 ‘모바일 결제 플랫폼 글로벌화’라는 목표에도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 KT는 이 난국을 어떻게 헤쳐 나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