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백영미 기자 =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운영하는 카카오의 무료 인터넷전화 서비스 ‘보이스톡’의 국내 출시 움직임이 가시화된 가운데 이동통신 업계에 파장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카카오 관계자는 4일 “지난 주말 보이스톡의 국내 출시를 위한 카카오톡 무료통화 테스터 모집을 결정했다”며 “오늘 아이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테스터 모집에 들어간 상태이며, 내일부터 안드로이드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테스터를 모집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25일 일본에서 시범 운영 중인 ‘보이스톡’을 국내를 제외한 세계 200여개 국가로 확대하자 국내 카카오톡 이용자들의 불만이 폭주하면서 테스터 모집을 결정하게 됐다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현재 카카오톡 이용자는 4200만명을 넘어선 상황이다.
카카오톡의 무료통화 도입이 본격화되자 이통사들이 반기를 들고 나섰다.
보이스톡 서비스가 국내에서 시작되면 이통사들은 음성 통화 매출 급감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다. 보이스톡 서비스 이용자가 몰릴 경우 데이터 트래픽 폭증에 따른 망 과부하로 네트워크 투자, 망관리 등에 추가비용을 투입해야 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동안 이통사들은 카카오톡 등 무선 통신망을 많이 쓰는 사업자는 망 이용댓가를 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카카오는 망중립성을 제기하며 망 이용대가를 지불하지 않아왔다. 망 중립성이란, 누구나 차별 받지 않고 인터넷 망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석우(46) 카카오 공동대표는 최근 “통화품질이나 통신사와의 의견 조율 등에 시간이 필요하다”면서도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자들이 네트워크 이용료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에게 또 비용을 내라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반박하기도 했다.
이통사의 망을 빌려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재판매(MVNO)사업자들도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다. 이날 SK텔링크, CJ헬로비전, KCT(한국케이블텔레콤)등 CEO(최고경영자)들은 이계철(72)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과의 간담회에서 “무료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는 만큼 정부가 정책을 신중히 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방통위는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현재 부가통신서비스로 규정된 무료 인터넷전화 서비스 관련 정책 개정 여부 등을 재검토 중이다.
이통사들은 무료 인터넷전화 서비스 제공 사업자도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만큼 기간통신역무사업자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다음, 네이버 등 포털업체들은 이용자들이 데이터이용료를 내고 쓰는 부가서비스라고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통사와 카카오 측 양쪽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면서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검토를 마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