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뉴스- [통신비 논란 해부] 영업익 1조4천억원 KT, 통신비 인하 3천억원에 ‘앓는 소리’

KT새노조뉴스클리핑Leave a Comment

[통신비 논란 해부] 영업익 1조4천억원 KT, 통신비 인하 3천억원에 ‘앓는 소리’

    
 
 

편집자 주 정부가 서민들의 통신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선택약정할인율을 20%에서 25%로 5%p 조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요금제에 따라 고작 월 1500원~4000원 정도 내리는데 그칠 것으로 보여 기대에 크게 못 미친다는 반응이지만, 통신사들은 이 정도 인하폭에도 “적자가 난다”, “투자가 줄어 서비스 품질이 떨어진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과연 그럴까? 통신사들의 실제 경영 상태와 통신시장 구조를 살펴보고 통신비 인하와 관련한 논란을 집중 점검해 본다.      

[시리즈]

① 이통3사, 공표한 이익보다 3~6배 돈 더번다
② 단말기 가격 2~3배 상승 “제조사가 더 챙겼다”
③ 단통법 최대 수혜 SKT, 투자는 뒷걸음질 
④ 영업이익 1조4000억원 KT, 통신비 인하 3000억원에 ‘앓는 소리’
⑤ LGU+, 판매비용 1조원 줄었는데 이익은 고작 700억원 증가? 

할인율 5%p 인상 부담 최대 3000억원, KT “경영악화, 투자위축 된다”
 
KT는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이하 단통법)이후 매년 1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내고 있지만 정부가 통신비를 5%p 더 할인하라고 하자 ‘경영이 악화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할인율 5%p 인상은 최대 3000억원 부담을 주는 수준인데 이 정도로 경영이 악화된다는 주장은 터무니없다는 지적이다.

또 KT는 ‘자금 여력이 줄어 투자가 위축된다’는 주장도 펴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KT가 단통법 이후 현금보유액이 1조원 넘게 증가했고 실제 영업 현금수익도 매년 5조원에 육박하며 보유자산 평가차익도 5조원이 넘는 것을 감안하면 몸 사리기에 불과하다는 반응이다. 
      
■ 판매비 8000억원 줄어 영업이익 1조4399억원, 현금보유액도 1.2조원 증가

KT는 2014년 단통법으로 보조금이 제한된 이후 판촉비와 판매수수료 등 판매비용이 5000~8000억원이나 줄었다. 비용이 줄면서 당연히 이익도 커져 2015년 1조2929억원, 2016년에는 1조4399억원의 영업이익을 실현했다. 매년 1조원을 넘기는 이익구조가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1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선택약정할인율 인상은 통신사의 여러 수익 중 무선서비스 수익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KT의 2016년 연결기준 매출(KT 재무제표상의 ‘영업수익’)은 22조7437억원이지만 계열사인 BC카드 등의 매출을 제외한 통신부분만의 매출은 15조2199억원이다. 한편 KT는 매년 5조원의 매출실적을 내는 유선통신 사업을 하고 있고 단말기 매출도 3조4900억원에 달해 이들을 제외한 순수 무선서비스 매출은 6조6584억원이다. 

이번에 정부가 추진하는 약정할인율 5%p 인상률을 KT의 무선서비스 매출 전체에 적용하면 KT는 최대 3300억원의 매출감소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증권시장에서는 약정할인을 받지 않는 이용자를 제외하면 실제 매출감소 효과는 2000억원 이하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 더해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또 다른 통신비 인하 방안인 ‘취약계층 기본료 폐지’까지 포함해도 매출감소효과는 연간 2783억원이라는 구체적인 숫자까지 제시되고 있다.

연간 1조4400억원의 영업이익을 실현하는 KT가 약정할인율 5%p 인상 때문에 경영이 악화된다는 주장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나오는 이유다.

더욱이 KT는 이런 이익성과를 바탕으로 재무구조도 크게 개선됐다. 지난 3년 KT의 주요 재무항목을 살펴보면 이익잉여금이 2014년 7조7294억원에서 2016년 9조1562억원으로 증가했고, 차입금은 9조1223억원에서 7조5824억원으로 줄어 재무구조가 크게 개선됐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부문은 현금보유액인데 2014년 4693억원에서 2016년 1조6024억원으로 무려 3.4배나 커졌다. 

 

차입금을 1조5400억원이나 갚았는데도 현금보유액이 또 1조원 넘게 증가해 회사의 자금사정이 넉넉해 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2
■ 실제 현금수익 4조7708억원, 부동산 평가이익 5조1800억원

지난달 28일 KT 신광석 최고재무책임자는 “데이터 트래픽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투자와 5G 네트워크와 같이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기 위한 기반 마련이 시급한데, 금번 (통신비 인하) 조치로 우려되는 부분이 있다”며 통신비 인하가 투자를 위축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KT의 영업현금 수익이 연간 5조원에 육박하고 있고 부동산 평가차익도 5조원이 넘는데다 통신비를 인하하지도 않았는데 이미 투자를 36%나 줄이고 있어 통신비를 인하하면 투자가 위축된다는 KT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KT의 2016년 현금흐름표를 살펴보면 영업활동 현금수익은 4조7708억원이다. 영업에서 들어 온 전체 현금수입에서 원재료비, 인건비, 판매비, 지급이자, 세금납부액 등을 모두 빼고도 5조원에 육박하는 금액이 남은 것이다. 

이 금액에서 시설투자를 위한 돈이 지출됐는데 2012년 3조7106억원에 달하던 시설투자규모가 지난해에는 2조3590억원으로 줄어 회사는 2조4000억원이나 되는 자금여력이 생겼다. 차입금을 1조5000억원 줄이고도 보유현금이 1조원 증가한 이유다.

한편 KT는 620만㎢의 토지를 보유하고 있는데 장부가액 9123억원인 이 토지는 공시지가로 평가해도 5조3202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회사는 6630억원의 투자부동산도 보유하고 있는데 자체 평가한 공정가치로도 1조4336억원에 달한다. KT는 부동산으로 5조1785억원의 평가차익을 남기고 있는 것이다.

3

 KT 황 회장, 통신비 인하 압박에 맞서기 어려울 것 

이통3사는 정부의 통신비 인하 정책에 행정소송 등 법적 대응까지 불사하겠다며 공동전선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업계에는 KT 황창규 회장의 경우 다른 이통사와 입장이 달라 공동전선이 계속 유지될 수 없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형식적으로는 민영화가 됐지만 실상 확실한 주인이 없는 KT는 그동안 정권이 바뀔 때마다 예외 없이 수장이 바뀌어 황 회장의 임기수행 여부도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황 회장은 전 정권의 비리와 연계돼 수백억대 광고물량을 최순실의 ‘플레이그라운드’에 몰아줬고 최근에는 ‘케이뱅크’ 계열사 누락으로 공정거래위원회 조사도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영에 실질적인 타격을 주지도 않을 정부의 정책에 KT가 끝까지 버티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통신비 인하가 KT의 손익이나 투자활동에 커다란 지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 결과가 계속 나오고 있다”며 “경영권 유지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황 회장이 명분이 약화되고 있는 이통3사 공동전선에 계속 참여하면서 국민 부담 경감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정부 정책에 오랫동안 맞서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성희 기자  ebiz1@itnews.or.kr]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