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창규호 KT, 업무시간도 빨라졌다

자유게시판3 Comments

황창규호 KT, 업무시간도 빨라졌다

8시 전후로 사무실에 도착..주말에도 출근하는 분위기
점심 배식시간도 줄어..열정 KT로 가는 출발점 시각도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황창규 KT 회장이 취임한 뒤 KT(030200)임직원들의 출근 시간이 빨라지고 있다.  회사 지침으로 출근 시간을 앞당긴 것은 아니지만, 9시께 출근했던 직원들이 8시 전후로 사무실에 도착하는 가 하면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에도 자발적인 출근이 이어지고 있다.

KT는 2002년 정부 보유 지분을 매각하면서 완전 민영화됐지만 성과주의보다는 공기업 문화가 남아있다. 할 일은 하지만 시키지 않은 일을 주도적으로 하지는 않는 것. 구내 식당 점심 배식시간도 1시간 30분이나 될 정도로 편안했다.  하지만 지난 1월 27일 황창규 회장이 공식 업무를 시작하면서, 근무시간은 길어지고 점심·저녁 시간은 짧아졌다. KT 광화문 사옥 15층 식당에선 낮 11시 30분부터 1시까지의 배식시간을 12시부터 1시까지로 줄이기도 했다.

KT 한 직원은 “8시 30분에 사무실에 도착해도 임원들은 물론 대부분이 출근해 있어 눈치를 봐야 하는 상황”이라면서 “임원들이 저녁 10시까지 있는 통에 그 전에 자리를 비우기 어렵다”고 말했다.

근무 문화가 바뀐 것은 황 회장이 내정자 시절 우면동 연구개발본부에 머물면서 저녁 일찍 불이 꺼지는 상황에 다소 당황스럽다는 반응을 보이자, 각 부문장을 비롯한 팀장급 임원(상무보)들이 알아서 근무 시간을 늘리면서 벌어진 일이다. 한 임원은 “주말에 집에 있어도 맘이 불안해 2~3시간 정도라도 회사에 나온다”고 전했다.

KT 임직원들이 더 오래, 열심히 일하게 된 것은 빠르고 열정적인 KT로 가는 좋은 징조라는 시각도 있지만, 엘리베이터가 부족한 서초사옥에선 출·퇴근 전쟁은 물론 점심때 지하 식당까지 가기 어려워 부서별로 배식시간을 정하는 등 엉뚱한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

황창규 회장이 재벌기업과 다른 국민기업, 제조업체와 다른 IT서비스 업체의 기업문화를 새롭게 창조할 수 있을까.  글로벌 제조업체인 현대차그룹의 정몽구 회장은 새벽 6시~6시 30분에 출근한다. 때문에 현대차 주요 경영진들의 새벽 별보기는 익숙하고, 일반 직원들도 오전 7시면 출근을 마친다.

IT서비스 기업인 네이버(035420)는 오전 10시가 출근 시간이고, LG유플러스는 아침 8시 30분까지 출근한 뒤 아침 9시부터 11시까지 집중 근무하는 ‘911근무제’를 채택했다.  실적 정정공시를 내면서까지 이석채 회장 시절 잔재를 떨어내고자 한 황창규 회장이 3만 5000여 임직원들을 이끌 KT다운 새로운 기업 문화를 어떻게 만들지 주목된다.

KT는 최근 이 회장 시절 야심차게 추진했던 유무선통합영업지원시스템(BSS)에 문제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이에 투자한 2700억 원을 모두 손실처리해 지난해 603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고 정정 공시했다.

3 Comments on “황창규호 KT, 업무시간도 빨라졌다”

  1. 참 실망스러운 조치다.

    공기업 시절 “일 더하기 운동”, 눈치보며 퇴근 못하기” 훨씬 많았다.

    민간기업이라면 자율적인 성과보상을 통해

    일을 스스로 더 하게 만드는 게 옳지 않을까.

    공기업 식 지시문화와 눈치보기 그리고 민간기업 식 실적주의와 경쟁주의가

    합쳐져서 최악의 강압적 기업문화와 허수경영이 판 치는 kt를 혁신한다는 게

    과연 이런 수준의 조치란 말인가! 

  2. 누가 kt를  통신 공룡이라 했나

    공룡이 지구상 에서  사라질 수 밖에 없었던  이유가

    지금의 kt와  너무나  유사하다

    이대로  가면 kt는    사라질 수 밖에 없다

    누구도  부인하기   힘든  사실이다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

    스스로  변해야한다

    주어진 시간은  제한적이다

    변화를  거부하면 

  3. 열정과 좌절

    성공예감과 패배예감

    인생은  마음  먹은데로 흐른다

    인생은  생각 하는데로  흐른다

    인생은  행동 하는데로 흐른다

    직장이  있다는 사실  얼마나 행복한지  모른다

    행복을 주는 직장을 위해  열정을 다하는건 지극히 당연한 길이고

    의무이다

    손잡고 함께!!!!!

    열심히 하는 직원 다리를  잡

    으면 천벌받는다

    skt와 너무 간격이 크다

    skt의  경영방침을 모방해봤으면  한다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