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화의 결과 kt 자산순위 크게 감소했다

자유게시판Leave a Comment

지난 10년 재계순위 판도가 바뀌었다.  8일 기업경영성과 평가 사이트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2004~2013년 10년간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대기업 그룹의 공정자산 순위를 조사한 결과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그룹은 부영과 한라로 각각 14계단이나 올라섰다.

  한라그룹도 자산 순위가 2008년 53위에서 작년 39위로 14계단 치솟으며 공동 1위를 기록했다.   3위는 미래에셋, 4위는 교보생명으로 각각 11계단, 10계단 올랐다. 미래에셋은 2008년 44위로 첫 대기업 집단에 진입한 이후 작년 33위로 올라서는 저력을 발휘했다. 교보생명도 2007년 53위에서 43위로 뛰었다.   이어 에쓰-오일(30위→23위), 한국지엠(34위→28위), 대우조선해양(24위→19위)도 각각 7계단, 6계단, 5계단 상승했다.   CJ, LS, OCI, 한진중공업, 대성, 태영 등 6개 그룹은 각 3계단을 올라섰다.

반면 한솔은 2004년 28위에서 작년 50위로 무려 22계단이나 추락했다. 2009~2012년 4년간은 자산규모 5조 원을 충족시키지 못해 아예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지정조차 안됐다가 작년에 겨우 이름을 올렸다.  순위가 하락한 2위는 대우건설로 2004년 14위에서 작년 27위로 13계단 떨어졌다.   이어 이랜드 11계단(38위→49위), 세아 10계단(31위→41위), KT&G 9계단(28위→37위) 등의 순이었다.

현대와 동국제강, 코오롱, KCC 등 4개 그룹은 모두 8계단 씩 처졌고, 현대산업개발과 KT, 효성도 각각 7계단, 6계단 떨어졌다.  

 kt는 2004년 5위에서 2013년 11위로 추락했다.  이것이 민영화의 결과이다.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