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정부 때 임명돼 지난해 3월 연임에 성공했지만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자진 사퇴설이 꾸준히 제기됐던 이석채 KT 회장이 정권 주류인 친박계 인사들을 스카우트하며 박근혜정부와 줄대기를 시도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나온다.
특히 홍 전 의원과 김 전 의원이 정보통신 분야와는 거리가 있어 전문성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KT 관계자는 28일 “두 전 의원이 KT의 자문 역할을 맡고 있다”면서 “홍 전 의원은 상임직인 자문위원을 맡고 있으며 김 전 의원은 비상임직으로 자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들에게 자문역을 맡긴 것은 경영활동을 하는 데 있어서 도움을 받기 위한 것”이라며 “일반적인 경영상황에 대한 자문을 하는 위원들이 정보통신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반드시 갖출 필요는 없다”고 해명했다.
두 전 의원이 KT의 자문 역할을 맡은 시점은 새 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 3월쯤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의 영입에는 이 회장이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의원의 과거 전력도 도마 위에 올랐다. 홍 전 의원은 지난해 9월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검찰에 고발돼 지난 1월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은 바 있다. 김 전 의원은 지난 대선 당시 인혁당 사건과 관련해 박근혜 후보가 일일이 사과할 필요가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을 빚었다.
KT 관계자는 “다른 대기업들도 정치권 인사들을 고문이나 자문역으로 영입하는 데 KT에 대해서는 유독 색안경을 쓰고 쳐다본다”면서 “두 전 의원이 친박계 인사이긴 하나 정치적인 목적을 가진 영입은 절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 회장의 퇴진설과 이들의 영입을 연관시키는 것도 억측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KT 관계자는 “이 회장은 2015년까지 임기가 보장돼 있다”면서 “친박 실세도 아닌 두 사람을 영입한 것이 왜 문제가 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하윤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