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벨] 나스미디어, KT지하철광고업 ‘유일한’ 수혜자

KT새노조뉴스클리핑Leave a Comment

  • 나스미디어, KT지하철광고업 ‘유일한’ 수혜자

  • 매년 20억대 현금창출…스마트채널 매출채권 쌓이는 KT와 ‘대조’


  • KT 지하철광고사업을 놓고 서울도시철도공사와 1700 원대 소송에 한창인 가운데 KT 광고 자회사 나스미디어만 유일하게 수익을 챙긴 것으로 나타나 주목된다.

    9 나스미디어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나스미디어가 KT 지하철광고사업 자회사 스마트채널을 통해 27 원의 매출을 올렸다. 나스미디어는 스마트채널로부터 지하철 5, 6, 7, 8호선 광고를 대행해주고 수수료 수익을 얻는다.

    나스미디어 전체 매출 지하철 광고대행 매출은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지난 2009년부터 지하철 광고대행사업을 수주하면서 매해 20 가량의 매출이 발생하게 됐고 이는 나스미디어 전체 매출의 10% 채우는 수준이다. 나스미디어 매출의 대부분은 지난 2008 KT 자회사로 편입되기 이전부터 주된 사업으로 영위해온 온라인 디스플레이 광고 대행에서 나온다. 전체 매출의 70% 차지한다. 온라인 디스플레이 광고 대행을 제외하면 지하철 광고대행 사업이 두번째로 수익처다.











    나스미디어 주요 계약 내역



     











    나스미디어의 특수관계사와 주요 거래 내역




    나스미디어는 지하철광고사업을 수주한 대가를 KT로부터 받았다. KT 스마트채널과 광고판매권 계약을 맺고 광고판매대행사로 나스미디어를 지정해 사업을 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나스미디어는 광고판매대행 사업 대가를 KT로부터 대부분 현금으로 받은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KT 스마트채널에게서 광고판매에 대한 대가를 여전히 받지 못하고 있다. KT 지난해 스마트채널을 통해 올린 매출은 140 , 지난 2013년에는 82 원이었지만 상당부분 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대신 매출채권만 대거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102 가량 매출채권을 보유하고 있고 지난 2013년에도 97 가량 매출채권이 남아있었다. 1 사이 매출채권만 5 가량 늘어난 셈이다. KT 스마트채널에 대여한 96 원도 지난해까지 받지 못하고 그대로 갖고 있다.

    서울도시철도공사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약속된 보장금을 받지 못했다. 한해 130 원의 수익을 지급하겠다는 계약을 맺었지만 스마트채널이 예상처럼 수익을 내지 못하면서 보장금 지급을 미뤘을 가능성이 높다. 스마트채널은 광고와 미디어를 송출할 디스플레이와 장비 등을 지하철 역내와 차내에 설치하는 높은 비용을 치러야 했지만 광고를 판매해 얻는 매출은 년째 제자리 걸음이다.

    가운데 나스미디어만 유일하게 지하철 광고업으로 수익을 얻은 곳이 됐다. 나스미디어는 지난 2009 KT 스마트채널을 설립해 지하철광고사업을 시작한 이래로 매년 계약 갱신을 통해 광고대행사업을 안정적으로 이어오고 있다. 올해도 계약은 갱신됐고 올해 말까지 7호선 연장구간을 제외한 5~8호선 지하철 광고판매 대행을 나스미디어에서 맡는다.

    나스미디어 관계자는지난해 KT 재계약을 통해 올해도 지하철광고 판매대행을 이어간다지하철광고 매체 설비의 한계로 매출 규모가 20 수준에서 거의 변동이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